반응형
목차
정부의 2026년 예산안 발표 내용을 정리하면, 핵심은 **“생애주기별 맞춤 지원 + 지역균형 발전 강화”**입니다. 크게 아동·청년·노인, 군 장병, 농어촌, 중소기업 근로자 지원이 눈에 띄네요.
👶 아동·가족
- 아동수당: 지급 연령 → 만 7세 → 만 8세까지 확대
- 지역별 차등 지급
- 수도권: 10만 원
- 비수도권: 10만 5천 원
- 인구감소지역: 최대 12만 원
- 특별지원 지역: 13만 원
- 야간 긴급 돌봄 수당 신설 (5천 원)
- 인구감소지역 취약계층 → 아이 돌봄 본인부담금 10% 추가 지원
-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급여·대체 인력 지원 단가 인상
- 주 4.5일제 도입 기업 장려금 지원
🧑 청년
- 청년 미래 적금 신설 (연 소득 6천만 원 이하, 만 19~34세)
- 월 50만 원 한도 저축
- 정부 매칭: 중소기업 청년 12%, 소상공인 종사자 6%
- 중소기업 청년이 월 50만 원 ×3년 → 총 2,016만 원 수령(정부지원금 216만 포함)
- 비수도권 중소기업 청년 근속 인센티브: 2년간 최대 720만 원
- 청년 주거 지원 강화
- 저소득 청년: 월세 20만 원, 24개월 지원
- 청년 공공임대 공급: 2.7만호 → 3.5만 호 확대
- 청년 교통 지원
- 월 5~6만 원으로 버스·지하철 최대 20만 원까지 전국 이용 가능
- GTX·광역버스 포함 시:
- 청년·어르신·다자녀 → 9만 원
- 일반 국민 → 10만 원
👴 노인
- 노인 일자리: 110만 개 → 115만 개 확대
- 확대분의 90% 비수도권 배분
- 고령자 고용 장려금 신설: 기업이 고령자 계속 고용 시 월 30만 원, 최대 3년
🎖 군인
- 5년 미만 초급간부 보수 인상: 최대 6.6%
- 내일 준비적금 신설: 장기복무자 월 30만 원, 3년간 지원
- 당직비 인상: 평일 +1만 원, 휴일 +2만 원
🌾 농어촌·지역 균형
-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: 인구감소지역 주민 24만 명 → 월 15만 원
- 지역 관광객 상품권 환급제: 경비 절반, 최대 20만 원 상품권 환급
🏢 중소기업 근로자
- 월 4만 원 식비 지원
- 기업 선택 → 쌀 ‘천 원의 아침밥’ 또는 점심 외식 할인
👉 전체적으로 청년·아동·노인 지원 확대 + 농어촌 활성화 + 군 장병 처우 개선에 방점이 찍혀 있고, 특히 **청년 자산 형성(미래 적금·주거·교통)**과 지역 인구감소 대책이 가장 눈에 띕니다.
반응형